등장인물의 성격과 기본 정보

개봉 2021년 6월 23일
등급 15세 관람가
장르 드라마, 스릴러
국가 대한민국
감독 김창주
출연 조우진, 이재인, 진경, 지창욱, 김지호
러닝타임 94분
이성규(조우진)는 은행 센터장인 그는 이것이 옳은 일인지,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도 없이 회사에 충성하며 정말 열심히 일합니다. 평범한 출근길에 자신과 아이들의 생명을 위협받게 됩니다. 이혜인(이재인)은 이성규의 딸로 위기에 순간에 동생을 돌보고 아빠를 살피는 똑똑한 아이입니다. 반 팀장(진경)은 이성규의 위험신호를 센스 있게 감지해서 아이들을 구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진우(지창욱)는 은행의 조작으로 한순간에 희망을 잃고 자살한 아내는 임신 중이었고 이 충격으로 복수를 준비합니다. 연수(김지호)는 이성규의 아내로 남편의 전화를 받고 아이들을 구하기 위해 돈을 구하러 동분서준하던 중에 폭발을 목격하고 충격에 빠집니다.
출근길에 걸려 온 의문의 전화 한 통, 차에서 아무도 못내린다
VVIP 고객만을 직접 관리하는 은행 센터장인 이성규는 출근길에 딸 혜인이와 아들 태율이를 학교에 데려다주고 출근하기 위해 집을 나섭니다. 혜인이가 차에서 이상한 냄새가 난다고 말하지만 바쁜 성규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흘려듣습니다. 주유를 하기 위해 주유소를 찾는데 갑자기 핸드폰이 울리고, 셋은 낯선 벨소리에 서로를 바라보다가 성규가 글로브 박스 안에서 처음 보는 핸드폰을 찾아 전화를 받습니다. '지금 당신 차에는 폭탄이 설치되어 있습니다.'라는 말에 성규는 보이스 피싱이라고 생각해서 '귀한 정보 감사합니다.'라고 하면서 전화를 끊습니다. 다시 전화벨이 울리고 성규가 받자 다짜고짜 욕을 하는 의문의 목소리는 '내려도 터지고, 경찰에 알려도 터지고, 자기 기분 안 좋게 해도 터진다.'라고 하며 17억 원을 요구합니다. 당황한 성규가 어찌할 바를 모르는 중에 셀프 주유소에 도착해서 손으로 시트 밑을 더듬어보니 진짜 폭탄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내릴 수 없는 성규는 직원에게 절규하듯 부탁하여 팁을 주고 주유를 합니다. 기름을 넣고 나서 아들 태율이의 학교에 도착하지만, 범인이 허락하지 않아 결국 아이들을 태우고 다시 출발합니다. 이때 부지점장의 전화가 오고, 부지점장도 성규와 똑같은 상황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은행 근처로 가서 부지점장을 만나게 되고, 별일 아니라 여겨서 내리려고 하는 부지점장의 아내를 말려보지만, 결국 차에서 내리고 폭탄이 터져서 두 사람은 죽게 됩니다. 이 모습을 본 성규는 사태의 심각성을 알고 공포에 질립니다. 설상가상으로 폭탄의 파편이 날아 들어와 아들의 다리에 관통합니다. 아들을 위해 당장 병원에 가야 하는데 범인은 허락하지 않고 부지점장의 몫까지 44억 원을 요구합니다. 일단 아내에게 알리고 9억 6천만 원을 먼저 보내라고 합니다. 추격하는 경찰에 포위되어 차를 멈추게 된 성규는 어떻게든 협박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리려고 애를 쓰고, 이를 알아차린 폭발물 처리반 반 팀장이 차량 주변의 전파를 차단하고 아들 태율이부터 구합니다. 그러자 범인은 형을 설득하겠다면서 성규의 동생으로 위장해 차량으로 접근해서 폭탄의 타이머를 작동시킨 뒤에 딸 혜인을 납치해서 도주합니다. 성규는 경찰들을 따돌리고 범인이 알려준 장소에 도착하고 딸을 구하지만, 진우가 갑자기 차에 타고 둘은 함께 바다에 빠집니다. 얼마 후 폭탄은 터지고 성규는 경찰들에게 무사히 구출됩니다. 차에 폭발물을 설치하고 협박한 테러범은 진우입니다. 과거에 본사에서 일을 했던 성규가 상부의 지시로 은행에 불리한 자료들을 폐기했는데, 그때 폐기된 상품의 투자로 피해를 입은 피해자들 중에 한 명이 진우의 부인이었습니다. 그 충격으로 임신 중이던 진우의 부인은 자살을 했고 진우는 복수를 결심한 것입니다. 이 일에 책임을 통감한 성규는 진우에게 약속했던 대로 은행이 벌인 일에 대해 내부 고발을 하면서 영화는 끝이 납니다.
자동차라는 공간에서 느낄 수 있는 최고의 긴장감
영화 소개 프로를 보다가 생각나서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 영화는 명품 조연의 대명사 조우진 배우의 첫 번째 주연 작품인데, 아쉽게도 코로나에 묻혀 빛을 보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중저음의 매력적인 목소리로 '네에'라는 유행어를 만들어낸 조우진 배우를 좋아하는 이유는 역할마다 전혀 다른 캐릭터를 보여주고 있어서입니다. 영화 사바하와 드라마에서 주목받고 있는 이재인 배우도 나이는 어리지만 깊이 있는 연기와 다양한 필모그래피를 만들어가는 훌륭한 배우라고 느꼈습니다. 무엇보다 외모와 연기력을 겸비한 지창욱 배우가 악역으로 출연한다는 것도 눈길을 끌기에 충분한 요소였다고 봅니다. 그리고 영화 촬영지가 부산이어서 더 좋았습니다. 차가 달리는 장면마다 보이는 풍경이 누구나 한 번쯤은 가 본 달맞이 고개부터 해운대, 광안대교, 부산항대교 등이 나와서 반가웠습니다. 내 차에 폭탄이 설치되어 있다는 상상만으로도 무서운데, 심지에 뒷자리에 내 아이들이 타고 있다면 정말 끔찍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영화를 보는 내내 몰입되어 조마조마하게 마음을 졸여가며 볼 수 있었습니다. 자동차라는 제한적인 공간에서 느낄 수 있는 최고의 긴장감을 배우들의 훌륭한 연기로 풀어가는 영화 발신제한의 지극히 주관적인 감상평이었습니다.
'영화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말아톤> 자폐증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 결말 (0) | 2022.12.28 |
---|---|
영화 <초록 물고기> 순박한 청년의 사랑과 죽음, 한국 누아르 (0) | 2022.12.20 |
영화 <아이 캔 스피크> 위안부 피해자의 이야기, 실화 바탕 영화 (0) | 2022.12.14 |
영화 <이웃사촌> 오달수 첫 주연, 배우들의 명연기와 소소한 웃음 (0) | 2022.12.14 |
영화 <82년생 김지영> 여자로 살아가는 것, 그리고 모성애 (0) | 2022.12.12 |
댓글